56년 동안 연속으로 배당을 성장시킨 배당 황제주 타겟 주가 (TGT) 리뷰

미국 소매업계에서 월마트 다음으로 규모가 큰 소매 업체인 타겟은 56년 동안 배당을 연속으로 증가 시킨 배당 황제주입니다. 현재 시점 (2024년 12월 5일)에서 타겟 주가의 흐름과 밸류에이션 분석을 통해서 투자 매력도와 리스크를 말씀드려보겠습니다.

타겟 회사 소개

역사

타겟(Target Corporation)은 1902년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조지 데이튼(George Dayton)이 설립한 데이튼 컴퍼니(Dayton Company)를 모태로 하고 있습니다. 1962년, 타겟 브랜드가 디스카운트 스토어로 처음 런칭되었으며, 합리적인 가격과 세련된 디자인을 결합한 컨셉으로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2000년에 현재의 타겟 코퍼레이션(Target Corporation)으로 이름을 변경하며 미국 내 대형 소매업체로 자리 잡았습니다. 현재 타겟은 미국 전역에서 약 1,95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며, 주요 도시와 교외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최근 M&A

  • Shipt 인수(2017년): 타겟은 5억 5천만 달러에 Shipt를 인수하며, 당일 배송 및 온라인 주문의 이행 역량을 강화했습니다. 이 전략은 아마존과 월마트와의 경쟁에서 핵심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 Deliv와의 파트너십: 타겟은 소규모 물류 스타트업과 협력하여 배송 시간을 단축하고 소비자들에게 더욱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업 분야

  • 소매 유통(Retail Stores): 타겟은 슈퍼마켓, 의류, 가전제품, 가정용품, 화장품 등 다양한 상품군을 제공하며, 중산층 및 젊은 소비자들에게 인기 있는 매장입니다.
  • 전자상거래(E-commerce): Target.com과 모바일 앱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온라인 쇼핑 경험을 제공하며, 당일 배송, 매장 픽업, 드라이브 업(Drive Up) 서비스를 통해 편리성을 강화했습니다.
  • 자체 브랜드 개발(Private Labels): 타겟은 Good & Gather, Cat & Jack, Up & Up 등 인기 있는 자체 브랜드를 통해 높은 품질과 경쟁력 있는 가격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 파트너십 및 특별 컬렉션: 타겟은 디자이너 브랜드 및 유명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통해 고유한 패션 및 생활용품 컬렉션을 주기적으로 출시합니다.

경쟁자

  • 월마트(Walmart): 미국 내 최대 소매업체로, 타겟의 주요 경쟁자로 다양한 소비재 및 식료품 부문에서 격차를 유지.
  • 아마존(Amazon): 전자상거래 시장에서의 가장 큰 경쟁자로, 빠른 배송과 방대한 상품군으로 소비자들을 끌어들임.
  • 코스트코(Costco): 회원제 창고형 매장으로, 특히 대량 구매 및 고품질 상품에서 타겟과 경쟁.
  • 크로거(Kroger): 특히 식료품 부문에서 타겟과 겹치는 주요 경쟁사.

사업 전략

  • 옴니채널 전략: 타겟은 매장과 온라인을 결합한 옴니채널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일 배송 및 매장 픽업 서비스는 소비자들에게 빠르고 효율적인 쇼핑 경험을 제공합니다.
  • 자체 브랜드 개발: 자체 브랜드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고품질 제품으로 소비자 충성도를 유지합니다.
  • 디지털 전환 강화: Shipt 인수 이후 타겟은 디지털 판매 채널을 확대하며 전자상거래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소비자 중심의 경험: 매장 내 쇼핑 경험을 중요시하며, 고객 친화적인 매장 디자인과 상품 배열로 쇼핑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 환경 및 지속 가능성: 타겟은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며, 재생 가능한 에너지 사용과 환경친화적 포장재 도입을 통해 ESG 목표를 달성하려 하고 있습니다.

시장 점유율 및 위치

타겟은 미국 내 소매 시장에서 약 7%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월마트와 아마존에 이어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 시장에서는 아마존과 월마트에 비해 점유율이 낮지만, 당일 배송과 매장 픽업 서비스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타겟의 전자상거래 매출은 매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아마존과의 경쟁

  • 빠른 배송 서비스: 타겟은 Shipt를 통해 당일 배송을 제공하며, 아마존의 빠른 배송 모델에 맞서고 있습니다.
  • 매장 네트워크 활용: 타겟은 1,950개 이상의 매장을 물류 허브로 활용해 온라인 주문 픽업드라이브 업 서비스를 강화, 아마존의 물류 시스템과 차별화된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 제품 큐레이션 및 자체 브랜드: 타겟은 트렌디한 자체 브랜드를 통해 아마존의 방대한 상품군과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 가격 경쟁력: 타겟은 저렴한 가격과 고품질 자체 브랜드 제품을 통해 아마존과의 가격 경쟁에서 이점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경쟁력

  • 트렌디한 브랜드 이미지: 타겟은 젊고 세련된 소비자들에게 호소하는 디자인 중심의 제품과 매장 환경으로 소비자 충성도를 확보.
  • 옴니채널 서비스 강화: 매장과 온라인 쇼핑의 강점을 결합한 전략으로 소비자 편의성을 극대화.
  • 효율적인 물류 네트워크: Shipt와 매장 기반 물류 허브를 통해 빠르고 효율적인 배송 서비스를 제공.
  • 지속 가능성: ESG 경영을 통해 환경친화적 이미지를 강화하며, 장기적으로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타겟 주가 (TGT) 흐름 분석

타겟 주가 흐름
[타겟 주가 성과 비교 1년 – 출처: Seeking Alpha, 2024년 12월 5일]
타겟 주가 흐름

[타겟 주가 성과 비교 5년 – 출처: Seeking Alpha, 2024년 12월 5일]

타겟 주가 흐름
[타겟 주가 성과 비교 10년 – 출처: Seeking Alpha, 2024년 12월 5일]

타겟 주가는 1년 동안 -2.79%가 하락해서 같은 기간 지수가 33.02% 상승한 것에 비해서 상당히 저조한 주가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5년 동안 지수가 94.88% 상승하는 동안 타겟 주가는 3.6% 상승하는데 그쳤습니다. 10년 동안 지수가 203.85% 상승하는 동안 타겟 주가는 79.25% 상승하는데 그쳐서 지수보다 저조한 성과를 냈습니다.

타겟 주가 (TGT 주가) 는 최종 성과 측면에 있어서 단기적으로 장기적으로 지수보다 열등한 주가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10년 주가 그래프를 보면 언제나 그랬던 것은 아닙니다. 2019년과 2022년 사이에는 지수보다 나은 성과를 보여준 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침체가 일시적인 문제인지 아니면 경쟁력 저하로 인한 영구적인 문제인지는 파악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타겟 주식 밸류에이션 & 성장성 분석

TGTTGT 5년 평균섹터 평균
PER (FWD)15.018.9717.51
매출 (YoY)0.64%7.33%1.67%
매출 (FWD)-0.10%4.68%2.61%
EPS (YoY)20.09%18.76%3.17%
EPS (FWD)15.57%10.36%5.81%
[타겟 주식 밸류에이션 & 성장 지표 데이터 – 출처: Seeking Alpha, 2024년 12월 5일]

타겟 주식은 PER 기준으로 5년 평균 대비 20.9% 할인되어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역사적 평균 대비 저평가 상태입니다. 다만 이러한 이유는 매출 성장이 둔화되어서 이러한 저평가 상태로 주가가 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EPS 성장률은 5년 평균이나 섹터 평균에 비해 낮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타겟의 매출 성장의 정체 원인이 일시적인 문제인 것인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만 경쟁사인 월마트가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타겟의 부진은 눈에 뜁니다. 이러한 문제를 시장은 우려를 하고 있기 때문에 밸류에이션이 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밸류에이션 지표와 수익성 지표에 대해서 생소하신 분이라면 제가 블로그에 쓴 다른 글을 참고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필수적인 수익성 분석 지표 (EBIT, EBITDA, NI, ROE, ROA) 이해하기

밸류에이션 (기업가치 평가) 기본 용어 완전 정복 및 적용

타겟 주식 배당 지표

배당 수익률 (FWD)3.44%
1년 배당금 (FWD)$4.48
배당 성향 (Payout Ratio)46.87%
5년 평균 배당 성장률11.3%
배당 성장 연수56년
배당 주기분기 배당
[타겟 주식 배당 기본 정보 – 출처: Seeking Alpha,2024년 12월 5일]
타겟 주식 배당 지급 기록
[타겟 배당 10년 지급 기록 – 출처: Seeking Alpha,2024년 12월 5일]
image 8
[타겟 주식 배당 10년 배당 수익률 기록 – 출처: Seeking Alpha,2024년 12월 5일]

타겟은 배당 성장주이자 배당 황제주입니다. 무려 56년동안 연속으로 배당을 늘려왔고 현재 시점 (2024년 12월 5일)의 배당 수익률도 3.44%로 일반 회사의 배당 수익률로는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또한 5년 평균 배당 성장률은 11.3%입니다. EPS가 꾸준히 증가해왔고 이에 따라서 배당도 같이 늘어왔습니다.

현재의 배당 수익률은 10년 배당 수익률 차트로 보면 상당히 높은 수준입니다. 타겟 주식의 5년 평균 배당 수익률은 2.38%입니다. 현재 배당 수익률 3.44%는 5년 평균 배당 수익률 대비 44.78%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배당 수익률 관점에서 지금 주가는 저평가 상태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투자 포인트

타겟 주식의 몇 가지 투자 포인트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첫번째, 56년 동안 배당을 늘려온 배당 황제주로서의 신뢰가 있습니다. 현재 배당 수익률은 3.44%는 5년 평균 대비 상당히 높은 수준이고 5년 평균 배당 성장률 11% 도 상당히 높은 수준입니다. 배당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투자 대상입니다.

두번째, 타겟은 월마트와 달리 미국에서도 프리미엄 소매 브랜드로서 입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브랜드와 경제적 해자를 가진 소매업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의 낮은 밸류에이션이 경제적 해자를 가진 기업을 싸게 살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리스크

타겟 주식 투자에 있어서 몇 가지 리스크를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첫번째, 최근의 매출 성장 둔화가 일시적인 문제인지, 타겟의 경제적 해자가 깨진 영구적인 문제인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사실 이 문제에 대한 확인은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에 대해서 다각도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두번째, 미국의 소비가 지속적으로 좋은 지금 현재로서는 걱정할 문제는 아니지만 만약 경기 둔화가 온다면 소비 둔화가 올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 있어서 타겟은 경쟁사인 월마트에 비해서 프미미엄 전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경기 둔화에 취약합니다. 경기 둔화 시 가격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월마트에 밀릴 수 있습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타겟 주가는 현재 저평가 상태이고 배당 투자로서도 매력적인 상태입니다. 무려 56년 동안 배당을 늘려온 배당 황제 주식이고 배당 성장률도 높습니다. 현재 배당 수익률도 역사적 평균보다 높은 상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평가 투자 매력은 있습니다. 다만 현재의 둔화된 매출 성장률에 대해서는 다각도의 정성적인 분석과 판단이 필요 해보입니다. 매출 성장 둔화가 일시적인 문제인지 영구적인 경쟁력 약화로 인함인지에 대해서는 판단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배당 성장주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은 아래 배당 성장주에 대해서 쓴 다른 블로그 글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배당 성장주 투자 통해 안정적인 투자를 하자

미국 대표 배당 성장 ETF 1위 – SCHD 비교 분석

경쟁사 회사이며 다른 미국 소매업체인 코스트코 (COST)와 월마트 (WMT)에 대한 글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코스트코 회사 소개 및 주가 흐름 분석

월마트 회사 소개 및 주가 흐름 분석

위 글은 개인적인 견해를 담은 글입니다. 최대한 객관적인 시각에서 보려고 했지만 개인적인 의견이 들어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주관적인 시각이 담겨 있습니다. 투자 판단에 참고만 하시고 투자는 본인 판단에 하시는 것이라고 말씀드립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버튼과 소셜 공유 버튼으로 제 블로그를 홍보 부탁 드려요. 많은 응원이 됩니다.

유튜브 채널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래 유튜브를 통해서도 다양한 정보를 받아보세요.

https://www.youtube.com/@usstock_jo

모든 의견 환영합니다. 댓글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