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워렌 버핏 포트폴리오가 된 컨스텔레이션 주가 (STZ) 투자 포인트와 리스크 리뷰

막대한 현금을 쌓아놓은 워렌 버핏의 버크셔해서웨이는 2025년 2월달에 2024년 4분기 투자 공시를 통해서 우리에게는 생소한 주식에 투자했다는 것을 공개했습니다. 그 회사는 컨스텔레이션 브랜즈라는 맥주 회사입니다. 워렌 버핏이 매수한 컨스텔레이션 주가의 투자포인트와 리스크를 리뷰 해보겠습니다.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회사 소개

개요

컨스텔레이션 브랜즈(Constellation Brands, Inc., NYSE: STZ)는 미국 뉴욕주 빅터(Victor)에 본사를 둔 글로벌 주류 기업으로, 맥주, 와인, 증류주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Corona), 모델로(Modelo), 퍼시픽(Pacifico) 등의 멕시코 맥주 브랜드를 미국에서 독점 유통하는 업체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미국 내 수입 맥주 시장에서 독보적인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컨스텔레이션 브랜즈는 프리미엄 및 수퍼 프리미엄 브랜드 전략을 통해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RTD(Ready-To-Drink) 칵테일 시장과 고급 증류주 사업 확장에도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역사 및 주요 인수합병(M&A)

컨스텔레이션 브랜즈는 1945년 Canandaigua Wine Company라는 이름으로 마빈 샌드(Marvin Sands) 씨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초기에는 와인 사업에 집중하였으나, 이후 공격적인 인수합병(M&A)을 통해 맥주와 증류주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글로벌 주류 대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주요 연혁 및 M&A:

  • 1990년대: 증류주 및 맥주 사업 진출, 사명을 Constellation Brands로 변경
  • 2013년: AB InBev로부터 코로나, 모델로, 퍼시픽 등 멕시코 맥주의 미국 내 독점 유통권 인수 ($4.75B)
  • 2018년: 캐나다 대마초 기업 Canopy Growth에 $4B 투자하여 대마 성분 음료 사업 진출
  • 2021년: 저성장 와인 브랜드 일부 매각 (Gallo에 $1.7B 규모로 판매)
  • 2023년: RTD(Ready-To-Drink) 칵테일 시장 확장 및 프리미엄 증류주 사업 강화
  • 2024년: RTD 제품군 및 멕시코 맥주 생산라인 추가 투자

컨스텔레이션 브랜즈는 맥주 사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면서도, 고수익 프리미엄 증류주 및 RTD 칵테일 시장에서의 성장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업 분야 및 주요 브랜드

컨스텔레이션 브랜즈는 맥주, 와인, 증류주 세 가지 핵심 사업 부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 맥주 사업 (Beer) – 미국 내 성장 동력

  • 주요 브랜드: 코로나(Corona Extra, Corona Light), 모델로(Modelo Especial, Negra Modelo), 퍼시픽(Pacifico)
  • 시장 위치: 미국 내 수입 맥주 시장 점유율 1위 (약 60%)
  • 전략: 멕시코 맥주 브랜드를 기반으로 프리미엄 시장 및 젊은 소비층 공략

(2) 와인 사업 (Wine) – 프리미엄 브랜드 강화

  • 주요 브랜드: 로버트 몬다비(Robert Mondavi), 킴 크로포드(Kim Crawford), 맨즈 위스키(High West Whiskey)
  • 시장 위치: 미국 내 프리미엄 와인 브랜드 시장 점유율 1위
  • 전략: 프리미엄 및 고급 와인 브랜드에 집중, 저가 브랜드는 매각

(3) 증류주 사업 (Spirits) – RTD 및 프리미엄 시장 확대

  • 주요 브랜드: 시저스 팔라스(Casillero del Diablo), 맨즈 위스키(High West Whiskey), 시카고 파이어볼(Chicago Fireball)
  • 시장 위치: 미국 내 프리미엄 증류주 시장 점유율 증가 중
  • 전략: 위스키, 데킬라 및 RTD 칵테일 시장 진출

주요 경쟁사 분석

컨스텔레이션 브랜즈는 맥주, 와인, 증류주 시장에서 다양한 경쟁사와 경쟁하고 있습니다.

맥주 부문:

  • Anheuser-Busch InBev (Budweiser, Stella Artois)
  • Heineken (Heineken, Dos Equis)

와인 부문:

  • E. & J. Gallo Winery (Barefoot, Apothic)
  • Treasury Wine Estates (19 Crimes, Penfolds)

증류주 부문:

  • Diageo (Johnnie Walker, Smirnoff, Casamigos)
  • Pernod Ricard (Jameson, Absolut, Chivas Regal)

컨스텔레이션 브랜즈는 프리미엄 및 수입 브랜드를 강점으로 차별화하고 있으며, 멕시코 맥주 시장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지분 매입

2024년 2월,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가 컨스텔레이션 브랜즈의 지분을 매입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소식이 전해지면서 컨스텔레이션 브랜즈의 주가는 상승했으며, 시장에서는 버크셔 해서웨이의 투자가 장기적 성장성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투자 배경:

  1. 미국 내 수입 맥주 시장 지배력: Modelo와 Corona 브랜드의 지속적 성장
  2. 높은 수익성을 가진 프리미엄 주류 사업: 맥주, 와인, 증류주 등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3. RTD 칵테일 및 증류주 사업 확장: 시장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한 전략
  4. 멕시코 맥주 공장 확장을 통한 생산능력 증대: 장기적 성장 기반 확보

버크셔 해서웨이는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으며, 컨스텔레이션 브랜즈가 이에 부합한다고 평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멕시코 관세 위협의 영향 및 대응 전략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 출마하면서 멕시코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컨스텔레이션 브랜즈는 멕시코에 주요 맥주 생산 공장을 보유하고 있어, 관세가 부과될 경우 다음과 같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잠재적 영향:

  • 맥주 생산 비용 상승 → 미국 시장 가격 인상 압박
  • 수입세 증가로 인한 수익성 저하
  • 멕시코 공장 추가 투자 계획 지연 가능성

대응 전략:

  • 미국 내 생산 시설 확대 검토
  • 멕시코 정부 및 미국 정치권과 협상 진행
  • 소비자 가격 인상 최소화를 위한 원가 절감 노력

컨스텔레이션 브랜즈는 멕시코 맥주 브랜드를 주요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미국-멕시코 무역 정책 변화에 가장 민감한 주류 기업 중 하나입니다.


결론: 컨스텔레이션 브랜즈의 경쟁력과 미래 전망

강점:

  • 멕시코 맥주 브랜드 (Corona, Modelo)의 압도적 점유율
  • 프리미엄 제품군 집중 전략
  • RTD 칵테일 및 증류주 사업 확장

⚠️ 위험 요소:

  • 트럼프 전 대통령의 멕시코 관세 위협
  • 맥주 시장 경쟁 심화
  •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 둔화

컨스텔레이션 브랜즈는 멕시코 맥주 브랜드와 프리미엄 주류 전략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정치적 리스크 대응이 향후 중요한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

컨스텔레이션 주가 흐름 분석

컨스텔레이션 주가 흐름
[컨스텔레이션 주가 성과 비교 1년 – 출처: Seeking Alpha, 2025년 3월 4일]
컨스텔레이션 주가 흐름
[컨스텔레이션 주가 성과 비교 5년 – 출처: Seeking Alpha, 2025년 3월 4일]
컨스텔레이션 주가 흐름
[컨스텔레이션 주가 성과 비교 10년 – 출처: Seeking Alpha, 2025년 3월 4일]

컨스텔레이션 주가는 1년동안 상당히 부진했습니다. 지수가 12.61% 상승하는 동안 컨스텔레이션 주가는 30.43% 하락했습니다. 5년 흐름으로 봐도 주가는 부진합니다. 지수가 84.6% 상승하는 동안 컨스텔레이션 주가는 7.21% 하락했습니다. 10년 흐름으로 보면 지수가 187.48% 상승하는 동안 52.44% 상승하는데 그쳤습니다. 주가 흐름을 보면 2024년까지는 주가가 지수보다 조금 앞서거나 비슷한 주가 성과를 보여주었지만 2024년 이후에 급격히 주가가 하락하는 양상을 보여주었습니다.

컨스텔레이션 주식 밸류에이션 & 성장성 분석

STZSTZ 5년 평균섹터 평균
PER (FWD)12.9820.6616.4
매출 (YoY)3.7%4.28%1.91%
매출 (FWD)3.95%4.2%2.13%
EPS (YoY)-59.96%3.91%
EPS (FWD)10.88%8.05%6.63%
[컨스텔레이션 브랜드 주식 밸류에이션 & 성장 지표 데이터 – 출처: Seeking Alpha, 2025년 3월 4일]

앞서 말씀드린 주가 흐름의 원인과 결과로 보면 원인은 2024년 EPS의 급격한 하락이 원인인 것 같습니다. EPS는 YOY로 59.96% 하락했습니다. 매출은 3.7% 상승했지만 비용 상승으로 이익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PER 밸류에이션은 5년 평균 PER 대비 37% 할인되어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섹터 평균 대비 프리미엄 밸류에이션으로 거래가 되고 있었지만 지금 현재는 섹터 평균 대비 20.85% 할인 되어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밸류에이션 하락은 이익의 급격한 하락이 원인인 것 같습니다. 매출 성장은 과거와 비교하거나 섹터 평균 대비 많이 떨어지지 않았지만 이익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주가 밸류에이션이 낮아졌습니다. 이런 경우 이익 하락이 일시적인 요인인지 구조적인 원인에 의한 것인지 판단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밸류에이션 지표와 수익성 지표에 대해서 생소하신 분이라면 제가 블로그에 쓴 다른 글을 참고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필수적인 수익성 분석 지표 (EBIT, EBITDA, NI, ROE, ROA) 이해하기

밸류에이션 (기업가치 평가) 기본 용어 완전 정복 및 적용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배당 지표

배당 수익률 (FWD)2.3%
1년 배당금 (FWD)$4.04
배당 성향 (Payout Ratio)29.25%
5년 평균 배당 성장률6.13%
배당 성장 연수9년
배당 주기분기 배당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주식 배당 기본 정보 – 출처: Seeking Alpha,2025년 3월 4일]
image 1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주식 배당 수익률 10년 차트 – 출처: Seeking Alpha,2025년 3월 4일]
image 2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주식 배당금 10년 지급 기록 – 출처: Seeking Alpha,2025년 3월 4일]

배당 수익률 관점에서는 2.3%는 높은 배당 수익률은 아닙니다. 또한 5년 평균 배당 성장률은 6.13%는 평균 정도 수준의 배당 성장률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5% 이하는 낮은 배당 성장률 5% 에서 10% 이하는 평균 정도의 배당 성장률이라고 생각하고, 10% 이상의 배당 성장률은 높은 배당 성장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관점에서 컨스텔레이션 주식의 배당 성장률은 평균 정도의 배당 성장률입니다. 다만 현재의 배당 수익률은 10년 배당 수익률 차트로 보면 상당히 높은 수준의 배당 수익률입니다. 그만큼 평소의 배당 수익률에 비해서 높게 형성 되어 있다는 것은 역사적 평균 가격 대비 저평가 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투자포인트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주식에 대한 몇가지 투자 포인트를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첫번째,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 포트폴리오 회사라는 프리미엄 이있습니다. 워렌 버핏 포트폴리오 혹은 워렌 버핏 투자종목으로 알려져 있다는 것은 하나의 투자 브랜드가 될 수 있습니다. 일단 어느정도 검증된 회사라는 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번째, 지금 현재의 밸류에이션은 역사적 관점에서 싼 밸류에이션입니다. 현재 회사는 비용 상승으로 인해서 이익이 급격히 줄어들었습니다. 다행인 것은 매출은 여전히 성장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비용은 회사의 구조조정 노력을 통해서 비용을 줄이는 과정이 성공한다면 이익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면서 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리스크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주식 투자에 대한 몇가지 리스크를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첫번째, 워렌 버핏이 투자한 회사들 중에 최근에 장기간 보유하고 있지 않고 매도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왔습니다. 이런 경우 주가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매물이 나오면서 주가가 오히려 상승하지 못하고 떨어질 수 있습니다.

두번째, 단기적으로 이 회사의 가장 큰 리스크는 관세입니다. 대부분의 매출의 멕시코에서 생산하고 수입하는 맥주에서 발생합니다. 멕시코 관세가 지금 현재 어떻게 결론이 날지 알 수 없습니다. 트럼프 임기내내 이러한 관제 문제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 결론

투자 결론을 내려보겠습니다.

일단 지금 현재 컨스텔레이션 주가는 저평가 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향후 이익이 다시 올라온다면 주가는 빠르게 제자리로 찾아갈 수 있습니다. 다만 관세 문제는 트럼프 임기 내내 이 회사의 주의 발목을 잡을 수 있습니다. 멕시코에서 생산하는 맥주에 관세가 부과 된다면 미국에서 생산하는 다른 맥주 브랜드와 경쟁하기 힘들어집니다.

물론 관점을 바꾸어서 이러한 리스크가 있는 상황에서 싸게 주식을 매입하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설사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트럼프 임기 4년을 버티면 그 이후에는 멕시코에 부과되는 관세는 없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어쩌면 관세가 부과되어 주가가 쌀 때 주식을 매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시간과 인내가 필요하겠죠.

배당 성장주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은 아래 배당 성장주에 대해서 쓴 다른 블로그 글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배당 성장주 투자 통해 안정적인 투자를 하자

미국 대표 배당 성장 ETF 1위 – SCHD 비교 분석

위 글은 개인적인 견해를 담은 글입니다. 최대한 객관적인 시각에서 보려고 했지만 개인적인 의견이 들어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주관적인 시각이 담겨 있습니다. 투자 판단에 참고만 하시고 투자는 본인 판단에 하시는 것이라고 말씀드립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버튼과 소셜 공유 버튼으로 제 블로그를 홍보 부탁 드려요. 많은 응원이 됩니다.

유튜브 채널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래 유튜브를 통해서도 다양한 정보를 받아보세요.

https://www.youtube.com/@usstock_jo

모든 의견 환영합니다. 댓글 남겨주세요